대한민국 재정 상태에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정부의 실질적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이 88조 3천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규모 재정이 집행되었던 2020년의 최대 적자 기록에 이어 가장 심각한 재정 불균형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동시에 중앙정부 국가채무 규모는 1,260조 9천억 원에 육박하며 미래 세대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뷰
목차

대한민국 재정의 경고등: 관리재정수지 적자 88조 원 돌파와 1,261조 원 국가채무의 중압감
- 총수입: 431조 7천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5조 원 증가)
- 총지출: 485조 4천억 원
- 통합재정수지 적자: 53조 7천억 원
- 관리재정수지 적자: 88조 3천억 원 (역대 두 번째)
- 국가채무(중앙정부): 1,260조 9천억 원
법인세 호조에도 불구한 재정 악화: 총수입 증가세의 이면
주목할 점은 정부의 총수입이 작년보다 크게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수지 적자가 심화되었다는 사실입니다. 8월 말 기준 총수입은 431조 7천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조 원이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수입 증가세는 주로 세수 호조에 기인합니다.
작년까지 부진했던 기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법인세가 17조 8천억 원 늘어났고, 성과급 지급 확대와 해외 주식 투자 호조 등으로 소득세 역시 9조 6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세외수입과 기금수입도 각각 2조 2천억 원, 4조 2천억 원 증가하는 등 수입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입 증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출 규모가 더욱 크게 확대되면서 재정 건전성의 악화를 막지 못했습니다.
2차 추경 집행의 파장: 관리재정수지 적자 심화의 핵심
재정 악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총지출의 급증에 있습니다. 8월까지의 총지출은 48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2차 추가경정예산이 본격적으로 집행되기 시작한 영향이 컸습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53조 7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더욱 중요한 실질적 재정 지표인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한 수치로, 88조 3천억 원이라는 역대급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 적자 규모는 작년 같은 기간(84조 2천억 원 적자)과 비교했을 때 4조 1천억 원 적자 폭이 더 커진 것입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를 제외하면 가장 큰 적자 수준으로, 세수 증가 효과에도 불구하고 재정 지출의 속도와 규모가 워낙 컸음을 방증합니다. 국가의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한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 노력이 시급한 상황임을 나타냅니다.
1천261조 원의 국가채무 중압감: 미래 세대의 부담 심화
더욱 우려되는 지표는 급증하는 국가채무 규모입니다. 8월 말 기준 중앙정부 국가채무는 전달보다 20조 4천억 원이 늘어난 1,260조 9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매달 수십조 원 단위로 빚이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하며, 지방정부 채무를 포함할 경우 실질적인 국가채무 총액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고채 발행량은 1월부터 9월까지 187조 5천억 원으로 연간 총 발행 한도의 81.6% 수준에 달해,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한 국채 발행 속도가 매우 빠름을 보여줍니다.
국가채무 급증은 미래 세대에게 상환 부담을 전가하고, 대외 신인도에 영향을 미치며 국가 경제의 잠재 성장률을 저해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현재 한국은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고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늘어나는 채무에 대한 이자 비용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수입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비효율적인 재정 지출을 과감히 삭감하고 건전 재정 기조를 확립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